시간
-
[팁] 블로그 포스트를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한꺼번에 업데이트하기놀이와 만들기 2010. 9. 9. 08:55
최근 트위터와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. 그러나 2~3가지 SNS를 유지(?)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입니다. '블로그에만 글을 쓰면 자동으로 트위터와 페이스북까지 한꺼번에 업데이트되었으면 좋겠다'라는 생각을 가진 분들이 있겠죠. 제가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. 블로그의 RSS 를 이용해 트위터를 업데이트 할 때는 twitterfeed 를 사용하고 트위터의 내용을 페이스북으로 업데이트 할 때는 페이스북-트위터 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합니다. 1. twitterfeed 설정하기 1) twitterfeed 에 가입/로그인 한 뒤에 오른쪽 상단의 [Create New Feed] 버튼을 클릭합니다. 2)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면 블로그 이름과 RSS 주소를 넣습니다. 3) RSS 주소 옆의 ..
-
[자가진단] 우리는 왜 바빠야만 하는가?일과 사람들 2007. 5. 27. 23:34
누구에게나 하루는 24시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대부분의 직장인은 하루에 8시간을 근무합니다. 일주일에는 40시간 동안 일을 하지요. 그런데 왜 우리는 늘 무언가에 쫒기듯 살아가는 것일까요? 생각을 해야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올텐데 책을 읽을 시간, 생각을 할 시간이 너무너무 부족합니다. 저의 1주일 40시간을 각각의 활동으로 나타냈습니다. 와~ 답이 보입니다. 하루 종일 엉뚱한 곳에 시간을 소비하지 않음에도 저의 주요 업무에 겨우 30% 만의 시간을 쓰고 있습니다. 나머지는 회의, 보고서 작성, 발표준비, 동향파악, 커뮤니케이션(전화,메신저,이메일) 등의 작은 업무로 채워져 있습니다. 그럼에도 저는 늘 자신에게 거짓말을 합니다. '나는 주요없무에 60~70% 의 시간을 사용한다' 이것은 사실과 다릅니다..
-
Innovation 에는 왜 시간과 사람이 필요한가?비전과통찰력 2007. 5. 17. 09:22
Langdon Morris and InnovationLabs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Innovation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시간이라고 합니다. ▷ Report 모두 보기 : http://www.permanentinnovation.com/Survey2Commentary.pdf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때 본인 스스로의 지식과 경험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확률은 20% 미만이라고 합니다. 나머지는 협력과 공유를 통해 채울 수 있습니다. Innovation 의 성공을 위한 필수요소는 아래와 같습니다. Time The Means to Communicate Management Support Enthusiasm, and Ideas. 결국 우리는 자기 분야의 시각으로 다른 분야의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서로..
-
[독서기술] 나만의 색인어를 만들자책 이야기 2007. 5. 1. 05:45
소설,시 등의 문학작품과 달리 대부분의 실용서는 한번 읽은 후에도 다시한번 필요한 내용을 찾아서 읽어야 할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. 이것을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책의 첫 장의 공백 페이지에 생각과 느낌 키워드 등을 기록한 나만의 색인(index) 페이지를 만드는 것입니다. 저 역시 처음에는 쉽지 않았는데 지금은 항상 펜을 가지고 다니며 그때 그때 중요 단어, 문구, 느낌 등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 한 5권 정도 해 보고 나니 겨우 습관이 된 것 같습니다. 습관이 되고 나니 두번째 읽을 때는 많은 시간이 절약됩니다. 책을 한권 읽는데에는 10시간 밑줄 친 부분만 읽으면 1시간 색인된 부분만 읽으면 1분색인어를 만들어 보세요. 검색엔진이 부럽지 않습니다. 나중에는 모든 책들의 색인어를 따로 모아서 개인 라이브..
-
합리적인 삶을 살다 간 세벌식 자판 전도사 공병우 박사님비전과통찰력 2007. 4. 1. 12:51
KLDP 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나이 측정을 읽다 문득 합리적인 삶을 추구하신 공병우 박사님의 이야기가 궁금해졌다 http://kldp.org/node/45423 공병우 박사 (1906 - 1995 ) -1906. 12. 30 평북 벽동 팔삭동이로 출생 -독학으로 1926년 조선의사 검정시험에 합격(한국 최초의 안과 전문의가ㅊ 됨) -936년 일본 나고야대학에서 안과 박사학위를 받음 -1938년 '공안과'를 개설 -자신의 환자였던 한글학자 이극로를 통해 한글의 중요성을 깨달음 -8·15해방 후 일본어로 된 〈신소안과학 新小眼科學〉를 번역하면서 한글 타자기의 필요성을 절감 함 -1949년 그는 한국 최초로 고성능 공병우식 한글 타자기를 발명 -6·25전쟁 당시 서울에서 인민군에게 체포 -한글 타자기를 인민위..